이용안내

공격거래량, 공격차트란?
[닉] 운영자   [조회] 10,550  [댓글] 0  [도움] 25   [날짜] 16-01-01 22:41 [ 목록 ]

 

 

1. 공격거래량의 정의

 

가격을 올리는 거래량(공격매수)에 대응하는 가격을 내리는 거래량(공격매도) 및 그 차를 공격거래량이라 한다.

가격을 올리는 거래량이라 함은 매도잔량에 가격을 올리면서 매수 때리는 거래량을 의미하며,

가격을 내리는 거래량이라 함은 매수잔량에 가격을 내리면서 매도 때리는 거래량을 의미한다.

공격매수량에 대응하는 공격매도량의 차를 순공격거래량(순공)이라 하며,

금액으로 환산한 것이 공격거래금액이라 하고,

이를 호가단위와 시간단위로 나열한 것이 공격차트라 한다.

 

 

2. 공격거래량의 개념

 

1단계 :

주가가 10,000원에서 20,000원으로 올랐다고 가정한다. (호가단위 1,000원, 1주거래, 세금 제외)

회사가 운영을 잘했던, 호재가 있던, 그 무엇이든 영향을 줬을 것이다. 그러나 주식수는 변한 것이 없음으로

누군가는 10,000원짜리를 11,000원에 샀고, 11,000원짜리를 12,000원에 샀을 것이다.

이렇게 각 단계별 1,000원이라는 돈이 더 들어가며, 10단계가 올랐음으로 전체적으로 10,000원이 더 들어간 것이다.

 

2단계 :

그래서 나는 20,000원짜리 주식 2주를 보유하고 있다. ( 올리는데 20,000원의 공격매수금액 발생 )

어느날 금융위기가 터졌다. 19,000원에 팔려고 보니 살 사람이 없어서 계속 호가가 내려가고

1주는 15,000원에 간신히 팔긴 했지만 1주는 손절도 못하도 주가는 10,000원까지 떨어졌다.

10,000원에 살 사람은 생겼으나 팔아야 될까 말아야 될까를 고민하고 있다.

 

3단계 :

이 상황에서 공격거래량을 계산해 보자.

10,000원에서 20,000원까지 올라가는 동안 공격매수량은 20개 발생(2주), 금액으로는 20,000원이며, 순공과 같다.

주가가 15,000원에서 한 주를 팔았음으로 공격매도량은 1개 발생했고 금액으로는 -1,000원이다.

왜 -1,000원인가? 호가 16,000원에서 15,000원에 1주를 팔았기 때문이다. 그래서

공격매수금액은 20,000원, 공격매도금액은 -1,000원 순공은 19,000원이며,

현 주가가 10,000원이지만 전체적인 순공은 19,000원이다. 차트로 보면 이 모양일 것이다.

 

[그림 a]

 

금융위기를 예로 들었는데, 각 가격대의 빨강 막대들은 지지대 역활을 한다.

 

4단계 :

다량의 수량과 다수의 사람들이 매매한다고 가정하고, 호재가 있어 가격을 올리려는 심리가 강해 공격매수량이 다수

발생한다고 보자. 17,000원의 저항대는 단숨에 뚫었지만 22,000원대를 돌파을 못하고 있다.

즉 큰 저항대를 만난 것이다. 그 가격대에서 이익 실현하려는 물량이 떡하니 버티고 있는 것이다. 차트로 보면 이 모양일 것이다.

 

[그림 b]

 

 

5단계 :

4단계와 반대로 가격을 떨어뜨리려 아무리 매도 때려도 안 내려간다. 그럼 큰 지지대를 만난 것이다.

그림을 보면 아래와 같을 것이다.

 

[그림 c]

 

 

3. 공격거래량의 의미

 

공격거래량은 지지와 저항의 의미가 있다.

주식은 심리고 심리를 담은 것이 공격거래량이다.

공격차트 상 가로차트를 보면 약 80%의 확률로 추세를 따르고 있다.

이는 주가가 오를 때 순공이 플러스(+)고, 내릴 때는 순공이 마이너스(-)가 된다.

나머지 20%는 보합이나 역으로 발생하는 데 이를 주시해야 한다.

지지와 저항은 조금씩 변화한다.

 

[그림 d]

 

 

4. 공격차트의 활용

 

매매의 기준이 있는 투자자들은 그 기준에 공격차트의 장점을 더해 운영하시면 되며,

기준이 없는 분들은 현재가창의 잔량이나 느낌으로 매매하시기 보다는 공격차트를 기준으로 하시면 도움이 됩니다.

그 느낌이라는 것은 주포가 만들어 낸 가짜일 확률이 51%라고 보시면 됩니다. 추측컨데, 주포의 프로그램이란 것은

카지노의 확률과 같을 것입니다. 딱 51%만 이겨서 결과적으로 많은 수익을 챙기는 것일 겁니다.

상단의 가로차트는 주가의 흐름을 파악하는 데 용이하며,

좌측 세로차트는 지지저항과 심리를 파악하는 데 용이하며,

우측 세로차트는 수급을 파악하는 데 용이합니다. (투자자별 가격대별 순매수 표시)

 

[그림 e]

 

 

5. 첨언

 

무턱대고 들어가서 큰 손실을 보는 분들께 조금이나마 도움을 주고자 합니다.

기본적 분석과 기술적 분석을 두루 하시고 공격차트을 참조하신다면

한 종목 돈의 흐름을 파악하는 데 용이합니다.

 

 

내용이 도움 되셨나요?

[댓글] 운영정책에 위배되는 댓글은 운영자 판단하에 이동될 수 있습니다.


번호 제목 등록자 등록일 조회 도움
13 매매신호 문자 서비스 종료되었습니다.  (0) 운영자 19-02-07 3,972 1
12 차트카운터 급등주 추천종목 - 회원제로 변경됩니다.  (0) 운영자 19-01-02 3,644 1
11 공격차트로 수급을 파악하는 방법  (0) 운영자 16-02-05 8,922 14
10 공격차트로 주포를 찾는 방법  (0) 운영자 16-02-04 7,247 12
9 공격차트로 바닥을 찾는 방법 (팬오션)  (0) 운영자 16-02-04 7,016 27
8 공격차트로 지지저항을 찾는 방법  (0) 운영자 16-01-23 7,039 18
7 공격거래량, 공격차트란?  (0) 운영자 16-01-01 10,551 25
6 회원탈퇴 방법 안내  (0) 운영자 15-12-19 4,676 0
5 기업가(起業家)의 신조(信條)  (0) 운영자 15-12-19 3,600 1
4 청소년보호정책  (0) 운영자 15-12-19 8,878 0
3 개인정보취급방침  (0) 운영자 15-12-19 10,172 1
2 서비스이용약관  (0) 운영자 15-12-19 9,024 3
1 회사소개  (0) 운영자 15-12-19 10,263 57